MY MENU

약재공연보

약재공연보(約齋公 年譜)

인조 14년(1636)~숙종 33년(1707).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유구(悠久). 호는 약제약재(約齋). 누실(陋室). 첨정(僉正)몽익(夢翼)의 증손. 현감 속(洬)의 손. 좌랑(佐郞)성오(誠吾)의 자. 좌참찬(左參贊) 박동량(朴東亮)의 외손. 우의정 이행원(李行遠)의 서. 현종 1년(1660) 진사(進士)가 되고 1666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典籍)ㆍ예조와 병조의 좌랑ㆍ사간원 정언(正言)ㆍ병조정랑ㆍ경상도사(慶尙都事)ㆍ사헌부 지평(持平)ㆍ세자시강 원필선(世子侍講院弼善)ㆍ사헌부 장령(掌令)ㆍ종부시정(宗簿寺正)ㆍ강계부사(江界府事) 등을 거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숙종 5년(1679) 문과정시(文科庭試)에 장원급제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르고 도총부부총관(都總俯副總管)ㆍ도승지(都承旨)ㆍ한성좌윤(漢城左尹)ㆍ공조참판ㆍ대사간 등을 역임하였으며,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이 일어나자 평안도 관찰사로 전임되었다. 숙종 9년(1683) 사은부사(謝恩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병조ㆍ호조ㆍ예조의 참판을 역임하고 다시 평안도관찰사로 나갔다. 이때 행한 선정으로 이곳 사람들은 사당을 지어 살아있는 초상을 걸어놓고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그후 서인(西人)이 노론(老論)과 소론(少論)으로 분당되자 소론에 속하여 노론의 영수 김석주(金錫?)의 전횡을 탄핵하였다. 숙종 11년(1685) 호조판서가 되고 이조판서와 형조판서를 역임하였으나 숙종 15년(1689) 중궁(中宮)이 폐위되어 출외(黜外)당하였다가 숙종 20년(1694) 갑술옥사(甲戌獄事)가 일어나자 이조판서로 기용되어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겸임하였다. 이듬해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이 되고 숙종 22년(1696) 영의정에 올랐으나 1698년 노론의 배척을 받은 소론의 영수(領袖) 최석정(崔錫鼎)을 변호하여 삭직(削職)되었다가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로 전임되고 이듬해 다시 영의정에 올랐으나 당쟁을 일삼는다는 노론의 탄핵으로 판중추부사에 전직되었다. 1701년 무고의 옥사가 일어나 그 주모자로 투옥된 장희재(張希載)의 노비 엽동(葉同)을 처형하지 않고 유배로서 사건을 수습하려 했으나 계속 사건이 확대되어 장희빈까지 연좌되자 세자의 생모를 사사(賜死)할 수 없다고 주장하다가 노론의 반대로 남구만(南九萬)과 함께 파직되어 이듬해 직산(稷山)에 부처(付處)당하였다. 1704년 풀려나와 이듬해 행판중추부사(行判中樞府事)에 제수되고 나이가 70세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글씨를 잘 썼으며 나주(羅州)의 죽봉사(竹峰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묘갈은 숙종 38년(1712)에 세워진 것으로 영의정 남구만(南九萬)이 짓고 영의정 최석정(崔錫鼎)이 썼다. 묘는 정부인 전의 이씨와 합장묘로서 묘 앞에는 묘비, 상석, 향로석, 장명등 그리고 망두석, 문인상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